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잊지 않을게 절대로 잊지 않을게


비로소 제대로 된 길을 걸을 수 있게 된 것일까.마냥 환호하기에는 아직 이르다.저들은 오랜 기간 권력을 장악해 본 경험을 지녔다.무엇이 되었건 결사적으로 반대하며 예전의 상황으로 되돌리려 안간힘을 쓸 것이다.지난 가을 무렵부터 지속된 촛불 행렬이 우리에게도 적잖은 가르침이 되어주었다고 난 믿는다.모든 것은 결국 옳은 방향으로 갈 것이다.세월호 참사가 발발한 지도3년의 시간이 지났다.처음에는 적잖은 이들이 분노했다.그토록 많은 이들이 영문도 모른 채 죽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 공감을 자아낸 것이다.하지만 시간은 모든 것을 무뎌지게 만들었다.대다수가 일상에 치이며 세월호로부터 멀어졌다.아예 대놓고 “아직도” 세월호냐며 불쾌함을 표한 이들도 증가했다.달라진 게 무엇 하나 없음에도 그랬다.그들은 일상을 그리워했다.결코 정상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무감각하게 떠밀리다 보면 어쨌건 살아지는 그런 일상으로 되돌아가고 싶어했다.파레토의 법칙이라 하는 게 있다. ‘80대20의 법칙’으로도 불린다.전체가100이라고 했을 때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끄는 것은20명이라는 이 말은 세월호 참사를 바라보는 시선에도 고스란히 적용 가능했다.모두가 침묵하고 외면할 때 소수의 사람들은 달리 행동했다.그들은 남들보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것도 아니요,그렇다고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정도로 조직화된 단체에 소속된 것도 아니었다.현실에 분노한 그들은 제 일상으로부터 변화를 도모했다.무어라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마음을 실천한 것이 그들의 시작이었다.처음에 한두 번도 사실은 쉽지가 않다.이 책에서 만날 수 있었던 이들은 지속적으로 활동을 이어나갔다.누가 시켜서 한 일이 아닌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온 자발적 결단이었다.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안 될 거 같았다는 그들의 외침이 나를 반성케 했다.뉴스를 보고 경악하는 것 외에 난 무얼 했던가!가방에 노란 리본을 달고 몇 차례 기억팔찌 펀딩에 참여하고는 일말의 짐을 덜었다고 자부했던 듯하다.어떻게 저렇게까지 연대할 수가 있을까? 3년간 한결 같은 모습을 보여온 이들의 일상은 세월호 이전과 이후로 나뉘었다.동일인인가 의심스러울 정도로 그들의 삶은 변화했다.그저 할 수 있는 일을 찾다 보니 그리 됐다며 겸연쩍어 하는 반응을 보이는 이들의 눈엔 눈물이 그득했다.세월호 참사를 제3자에게 일어난,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일로 받아들일 수 없게 된 것이다.안산에서,광화문에서,그들 중 일부는 활동을 하며 유가족이라 불리는 분들과 관계를 쌓아가기 시작했다.평생을 짊어지고 가야 하는 상처를 안은 것으로도 모자라 사회를 상대로 억울한 죽음을 소명하는 싸움을 전개해야만 하는 기구한 운명이라니.옆에서 이 힘겨운 싸움을 바라보고,때론 함께하면서 사람들은 점점 더 절실하게 느꼈던 것 같다.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나 또한 억울하게 자녀를 잃지 말란 법은 없다.왜 누구는 온몸으로 흐느껴 울 수밖에 없는데,왜 다른 이들은 그렇지 않다 못해 비난에까지 앞장서는 것일까.난 여전히 이와 같은 차이의 원인이 뭔지 알지 못한다.세월호 참사가 아니었더라면 원하는 곳에 취업,진학 등을 할 수 있었던 이들이 기꺼이 제 미래를 내려놓았다.자신의 선택이었고 후회하지 않는다고 했지만,그로 인해 짊어져야만 하는 것들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음을 잘 안다.가능하다면 익명성 뒤에 숨어 보고 싶기도 하다.사람이라면 본능적으로 쉬운 길을 택하고 싶기에.하지만 사람이기 때문에 더더욱 세월호 참사를 잊어서는 안 된다.충분히 다른 결론을 써 내려갈 수도 있었는데 정부는 가능성을 포기했다.세월호 참사는 돈이나 효율성 등의 차원으로 평가해선 안 되는,인간 존엄성을 배반한 일이었다.
세월호참사와 함께한 시민들의 3년(2014~2017)을 기록한 인터뷰집.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와 4.16연대가 기획한 첫 번 째 책으로 사무원이자 희생자 초상화가 최강현씨, 음악가이며 기독교인인 김환희씨, 팽목항 자원봉사자 국슬기씨, 제주도 세월호 기억공간 ‘리본Re:Born’ 운영자 황용운씨, 회사원이자 416 약속지킴이 이경숙씨, ‘엄마의 노란 손수건’ 회원 가족 정유라, 목선재, 목종찬씨, 유가족들 도우미이자 현 청년당 공동위원장 김수근씨, 세월호 법률대리인이며 ‘거리의 변호사’였던 현 국회의원 박주민씨, 대구 상인동의 자발적 활동가 이명희 박기일 부부 등 시민 10여명이 희생자 유가족들과 더불어 ‘길거리에서 보낸 3년간’을 담았다. 이 글은 무명의 시민들과 세월호 유가족들의 연대의 기록이기에 앞서, 고통에 처한 한 인간에게 다른 인간이 기꺼이 손을 내밀고 부둥켜안은 범상하고 보편적인 고백담이다. 다음카카오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인 ‘같이 가치’(https://together.kakao.com)를 통해 네티즌 5천여 명의 후원을 받았으며, 2017년 한국출판산업진흥원의 콘텐츠 창작기금을 지원받았다.

들어가며
산도르 마라이 소설 [열정]의 한 대목

1. 그려보면 아이들이 다 예뻐요
희생자의 초상을 그리는 화가, 사무원 _ 최강현

2. 아줌마, 나는 그냥 아줌마예요
‘범생이’를 벗어던진 음악가, 기독교인 _ 김환희

3. 안 끝났으니까
팽목항 자원봉사자, 수도권 지하철역 서명지기 _ 국슬기

4. 왜 이런 일이 벌어졌나요
제주도 세월호 기억공간 ‘리본Re:Born’ 운영자 _ 황용운

5. 시대가 원하는 사람이 아닐지라도
광화문에서 노래하는 소녀_ 장한나

6. 그때도 저는 엄마니까요
회사원이자 416 약속지킴이 _ 이경숙

7. 잊지 않을게
‘엄마의 노란 손수건’ 회원 가족 _ 정유라, 목선재, 목종찬

8. 나오십시오
청년당 공동준비위원장 _ 김수근

9. 곁에 있을 수 있으니까
‘거리의 변호사’였던 국회의원 _ 박주민

10. 집 앞이 곧 광장이지요
대구 상인동의 자발적 활동가 _ 이명희 박기일 부부

추천사
2014년 4월 16일은 절대로 잊을 수가 없습니다 _ 전명선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단원고 2학년 7반 故 전찬호 군의 아버지)
다시 한 번 부탁드립니다 _ 전인숙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대외협력분과장(단원고 2학년 4반 故 임경빈 군의 어머니)
너무 평범한 사람들의 세월호 분투기(奮鬪記) _ 박래군 4.16연대 공동대표

나오며
에필로그


 

galvani(갈바니) , fatten(살찌우다)

하루5분생활영어열심히 영어단어 열공! galvani ( 갈바니 ) galvani potential difference ( 갈바니전위차 )The aquabus project aims to lure more tourists to the city and galvanize tourism there 아쿠아버스 프로젝트는 부산에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부산의 관광을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Impact of Picture and Reading Mode on

rtygs.tistory.com

 

나미타는 길을 찾고 있어요

내가 찾는 길은 어디에 있을까요? 나의 자리, 나의 길을 찾는 힘찬 도전!≪나미타는 길을 찾고 있어요≫는 억압에서 벗어나 자신의 권리와 자유를 당당하게 찾아 나선 나미타의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입니다. 나미타는 자기 자리를 찾고 싶어 하지만, 가족들은 아무런 권리도 주지 않습니다. 할머니, 엄마, 아빠… 가족들이 시키는 대로 일을 척척 해내지만, 좀처럼 기쁨과 행복을 느끼지 못하지요. 그런 나미타에게 책은 유일한 쉼터이고, 마침내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날

gfdgtdd.tistory.com